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한 펀드의 일종인 ETF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
* ETF( Exchange Traded Fund) 란?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수있게 만 든 상품
인덱스펀드? 주가지표의 변동과 동일한 투자성과의 실현을 목표로 구성된 포트폴리오
펀드(집합운용자산) : 직접투자가 아닌 전문가가 대신 투자한 것
* ETF 투자 장점?
1. 분산투자가능 : 지수/섹터/테마 등 구성종목 바스켓
ex) 2차전지ETF : LG화학, 삼성SDI, SK이노베이션
바이오ETF : 셀트리온, 신풍제약, 한미약품, 동아제약
2. 환금성이 좋음 : 내가 원할 때 돈으로 찾을수 있다. (펀드의 경우 환매기간 3일이상)
주식처럼 매일 매매가능
3. 저렴한 비용 : 펀드 운용보수가 연 2%정도지만, ETF는 0.3~0.9%정도( 보통 0.4~ 0.5%)
펀드의 약 1/10 정도
4. 투명성
* ETF 용어정리
1. 기초자산 : ETF가 담고있는 자산, 거래대상 ( 주가지수형 ETF 경우 지수 구성종목 10종목 이상)
ETF 자산운용사가 여러 종목을 하나로 모아 상장시키는 개념
2. NAV : 순자산가치 - 주식, 현금, 배당, 이자소득 등을 포함하여 계산됨
3. CU : ETF의 설정단위 - 1CU = 하나의 뭉텅이
4. PDF : 1CU의 구성내역 (기초자산 구성내역)
5. 추적오차 & 괴리율 : ETF 증가와 순자산가치의 차이 , 괴리율을 1년치로 계산했을 때 '추적오차'
6. H(환헤지) : 환율 변동 위험을 없애기 위해 환율을 미리 고정해 두는 거래 방식
*헤지 : 가격 변동 위험을 막기위해 쐐기를 박아 가격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
원화 약세를 예상한다면 (H)가 없는 ETF 사는게 유리
(환율 예측 힘들지만 해외 자산을 긍정적으로 볼 경우 환헤지가 돼 있는 ETF를 사면 된다)
KODEX : 삼성자산운용
TIGER : 미래에셋자산운용
KBSTAR : KB자산운용
KINDEX : 한국투자신탁운용
파워 : 교보악사자산운용
ARIRANG : 한화자산운용
TREX : 유리자산운용
마이다스 :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
마이티 : 동부자산운용
KTOP : 하나유비에스자산운용
흥국 : 흥국자산운용
SMART :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
HANARO : -NH-Amundi자산운용
FOCUS : 브이아이금융투자
KODEX코스닥150선물인버스
: 삼성자산운용에서 코스닥150에 선물인버스를 투자하는 ETF
KODEX WTI원유선물(H)
: 원유에 투자하는 환헤지
TR이 붙은 것 : Total Return - 분배금을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대신 재투자해 복리 효과 추구하는 상품
(배당소득세 15.4% 내고 돌려받는대신 , 그 돈으로 재투자)
(합성) : 여러 기초자산을 혼합 - 부동산, 채권 등 다른 자산을 혼합
▶용어를 전부 다 알필요는 없지만 이름을 보고 내가 투자할상품이 어떤것인지 알수있으니 잘 알아보고, 공부해서
천천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.
주식, 재테크 등 내가 공부해가며 다음에도 편리하게 찾아보기 위해 , 나같은 초보들을 위해 포스팅하는 것이므로
전문가 관점에서 바라보면 부족한 점이 많을 수 밖에 없다.
복잡하고 접하기 어려운 용어들을 입문하는 단계로 생각하고, 간혹 잘못된 내용이 있을수 있으며, 나같은 초보들도 같이 공부해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.
'직장인의 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티스토리 수익] 글자크기 변경 이것만 알면 끝 ! (0) | 2021.11.25 |
---|---|
하나 밀리언달러 통장 삼성증권 거래하기 (1) | 2021.11.22 |
[하나원큐] 환테크로 수익얻다 ! (환테크 하는 법 , 달러리치) (0) | 2021.11.18 |
초보의 환테크 모의계산해보기. (0) | 2021.10.14 |
구글애드센스 수익 어디로 받지? (SC제일은행 타발송금수수료) (0) | 2021.10.13 |